자연과 하나 된 공간미의 절정 안동 병산서원











수려한 경관, 자연과 하나 된 공간미의 절정
안동 병산서원
경상북도 안동은 ‘하회마을’ 등으로 대표되는 전통 민속 문화의 소중한 흔적들이 많이 남아있는 ‘역사의 고장’으로 널리 알려진 곳이다. 그러나 안동지방에 면면히 이어 내려온 문화적 전통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고아하고 은일적인 선비문화, 혹은 양반문화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특별히 16세기 경에 등장, 조선 중기의 사회변화를 주도했던 사림士林세력의 중추적 인적 자원이었던 이른바 ‘영남학파’의 본거지였다는 점에서 안동에 서린 양반문화의 전통은 조선조 선비문화의 정수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선비문화의 가장 분명한 발자취로 남아있는 문화유산이 바로 안동 곳곳에 남아있는 수많은 서원書院이다. 그 중에서도 서애 유성룡을 배향하는 병산서원은 수려한 자연경관, 그리고 아름다운 주변풍경과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 탁월한 조형감각으로 건축이나 역사를 전공하는 전문가들로부터 가장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글/유정서 사진/이주용
수려한 경관, 자연과 하나 된 공간미의 절정
안동 병산서원
경상북도 안동은 ‘하회마을’ 등으로 대표되는 전통 민속 문화의 소중한 흔적들이 많이 남아있는 ‘역사의 고장’으로 널리 알려진 곳이다. 그러나 안동지방에 면면히 이어 내려온 문화적 전통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고아하고 은일적인 선비문화, 혹은 양반문화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특별히 16세기 경에 등장, 조선 중기의 사회변화를 주도했던 사림士林세력의 중추적 인적 자원이었던 이른바 ‘영남학파’의 본거지였다는 점에서 안동에 서린 양반문화의 전통은 조선조 선비문화의 정수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선비문화의 가장 분명한 발자취로 남아있는 문화유산이 바로 안동 곳곳에 남아있는 수많은 서원書院이다. 그 중에서도 서애 유성룡을 배향하는 병산서원은 수려한 자연경관, 그리고 아름다운 주변풍경과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 탁월한 조형감각으로 건축이나 역사를 전공하는 전문가들로부터 가장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글/유정서 사진/이주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