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 산사이 빼꼼히 열린 세평하늘 아래 하얀 추억 '수북수북'
| ||||||||||||||||||
‘하늘도 세 평, 꽃밭도 세 평’이라는 간결한 시구(詩句)로 오지의 아우라를 담뿍 담고 있는, 경북 봉화의 궁벽한 곳에 숨은 승부역. 지도에서 승부역을 찾아보니 주변 산세가 녹록치 않다. 빼곡하게 엉겨붙은 등고선이 꽤나 급한 사면의 산들로 이뤄져 있음을 짐작케 한다. 그 급경사의 산들 사이 협곡으로 강물이 돌아나가고, 그 강물을 따라 철길이 이어졌다. 험한 산세가 슬쩍 무뎌지는 약간의 열린 공간에 들어선 승부 마을. 산으로 둘러싸인 창공, 그 ‘세 평의 하늘’을 만나러 승부로 떠났다. 춘양에서 올라가는 열차는 현동, 임기, 분천역을 지난다. 열차 창 밖은 지난 밤 내린 눈으로 눈부시다. 열차는 하얀 철길을 따라 눈덮인 산자락을 훑으며 전진한다. 물길을 따라 구불구불 이어진 순백의 철길도 굽이굽이 물 흐르듯 이어진다. 눈 쌓인 밭두렁을 지나고, 캄캄한 좁은 터널을 통과했다. 승부역은 하루 6번 동대구와 강릉을 잇는 영동선 무궁화호가 서는 작은 역이다. 태백의 석탄을 수송하기 위해 철암-영주를 잇는 영암선이 개통될 때(1955년) 생겨난 역사다. 이후 철길은 철암선, 황지본선, 강원북부선 등과 합쳐져 1963년 영동선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영암선이 뚫린 것은 휴전 직후. 험준한 산을 통과하느라 교량이 55개, 터널이 33개나 필요했다. 전쟁 발발로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고, 군 공병대까지 투입해야 했던 우여곡절을 지닌 대역사였다. 드디어 개통되던 그때, 이승만 대통령은 직접 승부역을 찾아와 친필을 새긴 영암선 개통비를 역사 한쪽 언덕에 세웠다. 승부역이 유명해진 것은 1998년 겨울부터 시작된 환상선 눈꽃열차 덕분이다. 태백 추전역에 잠시 들른 눈꽃열차는 이곳 승부에서 1시간 30분 이상을 정차하고, 승객들은 산골 오지의 정취를 흠뻑 들이마시고 떠난다. 역사 옆쪽 바위에 승부역의 트레이드 마크인 ‘승부역은/ 하늘도 세 평이요/ 꽃밭도 세 평이다/ 영동의 심장이요/ 수송의 동맥이다’라는 글귀가 흰 페인트로 씌어있다. 1965년 이곳에 근무했던 역무원 김찬빈씨가 쓴 구절이라고 한다. 승부역을 끼고 있는 승부리 주민들은 40가구 70여명 정도. 역에서 70m 길이의 출렁다리를 건너 만나는 승부마을과 역사 바로 옆 역동네를 묶어 1반, 승부마을에서 보면 강 건너편 초등학교가 있던 학교마을이 2반, 그리고 석포 쪽으로 한참을 나가 만나는 결둔마을이 3반 해서, 3개의 반으로 이루어졌다. 낙동강 건너편인 학교마을은 강원 울진에서, 경북 울진, 다시 경북 봉화로 행정구역만 3번이 바뀌었다고 한다. 한창 때는 100여 호 500명 가까운 주민이 살던 곳이었지만 여느 시골처럼 젊은이들이 등지면서 마을은 자꾸만 작아져 갔다. 고냉지 채소와 잡곡 농사를 짓고 사는 주민들은 겨울이 가장 반갑다. 마을을 찾는 눈꽃열차 손님을 만나기 때문이다. 역사 아래 강변에는 울긋불긋한 천막이 들어서있다. 마을에서는 ‘젊은 축’인 50~60대 마을 사람들이 눈꽃열차 손님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음식점 천막이다. 눈꽃열차시간이 가까워 오면 70~80세 된 노인들도 집에서 담근 장과 직접 수확한 깨와 콩 등을 바리바리 싸들고 나온다. 한 푼 두 푼 용돈 버는 재미도 그렇지만 시끌벅적한 사람 사는 재미를 느끼는 게 더욱 크다. 지팡이에 의지해 걷는 열차역까지의 미끄러운 눈길이 멀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다. 승부역은 철길로만 외부와 연결된 건 아니다. 석포, 태백으로 이어지는 길이 낙동강 상류를 따라 놓여져 있다. 포장되기 전 이 길은 무척이나 험했다. 주민들은 “예전에는 지에무씨(GMC)나 댕길 수 있던 길이었지. 일반 차로 가려면 땅이 질어 차 타고 가는 시간보다, 차를 떠밀어 주는 시간이 더 걸렸어”라고 했다. 이 길이 7,8년 전 깨끗이 포장됐다. 승부에서 석포까지는 12km. 눈 많은 날에는 미끄러워 차량 운행이 부담스럽지만, 설경을 즐기며 걷기엔 최적의 코스가 된다. 눈꽃열차가 도착하기 전, 부산해질 승부역을 피해 석포까지의 눈길로 발걸음을 옮겼다. 산골 시골마을은 대낮임에도 정적이 감돌았다. 집 앞에 묶여있던 큰 개만 컹컹 짖어대는데 가볍게 겅중겅중 뛰는 폼이 경계한다기보다 오랜만의 인기척에 반가워하는 몸짓이다. 소복하게 눈을 이고 흐르는 강물. 쾌활함 가득한 물소리에서 발걸음은 활기의 리듬을 얻는다. 간혹 강을 스치고 지나는 화물열차나 여객열차의 굉음만이 눈길에서 들을 수 있는 소음일 뿐, 강변 길을 걷는 내내 물소리와 벗하며 설경에 빠져들어갔다. 열차의 창 밖으론 그저 스쳐지나야 했던 눈세상을 한 발짝 한 발짝에 꾹꾹 눌러 담는 유쾌한 눈 트레킹이다.
|
'여행정보 > 추억을 담는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꽃맞이 " 기차여행" (0) | 2008.02.19 |
---|---|
드라마속 가을동화 아바이마을 추억여행 (0) | 2008.02.16 |
편하게 앉아서 클릭으로 여행을 즐기세요 (0) | 2008.02.07 |
[종합] 고향집같이 정겨운 설연휴 가볼만한곳...(세계일보) (0) | 2008.02.04 |
[종합] 가볼만한 체험마을 4곳 (스포츠월드) (0) | 2008.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