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물도 소개 (주소 : 경남 통영시 한산면)
면적 0.51㎢, 해안선길이 3.8㎞, 최고점 157.2m, 인구 44명(1999)이다. 웃매미섬이라고도 한다.
통영항에서 남동쪽으로 26㎞ 해상에 있다. 매물도(每勿島)와 바로 이웃하고 있으며
북서쪽에 가익도(加益島), 남동쪽에 등가도(登加島)가 있다.
평지가 드물고 해안 곳곳에 해식애(海蝕崖)가 발달하였다.
동쪽의 등대섬과는 물이 들고 남에 따라 70m의 열목개 자갈길로 연결되었다가 다시 나누어지곤 한다.
옛날 중국 진(秦)나라의 시황제의 신하가 불로초를 구하러 가던 중 그 아름다움에 반해
'서불과차(徐市過此)'라고 새겨놓았다는 글씽이굴이 있으며, 그외에 형제바위·용바위,부처바위
촛대바위등 바위 입상이 바다를 굽어보고 있다.
부근 수역은 고등어·전갱이.멸치·방어 등 회유 어족이 많아 연중 어로가 활발하고
전복·소라·돌미역·해삼 등이 채취된다. 마을 위쪽으로부터 등대섬으로 넘어가는 작은 길의 주변에는
수크령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당산제의 전통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며, 남매바위 설화가 전해진다.
통영시 여객선터미널에서 1일 2회 정기여객선이 운항된다
노자산 소개 (경남 거제시 동부면 구천리 해발 565m http://www.geoje.go.kr/main)
불로초와 절경이 어우러져 늙지 않고 오래 사는 신선이 된 산이라 하여 노자산(老子山)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이 산은 거제도의 동남쪽에 위치하여 동부면 구천, 부춘, 학동을 끼고 있으며, 해발 565m로
남쪽으로는 거제 수봉 가라산(585m)과 연결되어 있다. 가을 단풍이 절경인 이곳에는 여러 종류의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특히 세계적으로 희귀조인 팔색조가 서식하고 있어 신비의 산으로
일컬어 지고 있다. 학동 몽돌밭에서 바라다 보이는 정상의 기암 괴석도 일품이지만 정상에서 내려다
보이는 춤추는 듯 솟아 있는 다도해의 비경은 보는 이의 가슴을 울렁이게 한다.
등산코스는 자연휴양림에서부터 개설된 등산로를 따라 산행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지만 온 산이
단풍으로 불붙는 가을이면 동부 부춘에 있는 혜양사 뒤편으로 산행하는 것도 또 다른 즐거움이다
일운면 동쪽 해상에 위치한 내도(안섬)와 외도(밖섬)는 호수에 떠 있는 돛단배처럼 아름답다.
안쪽에 있는 섬이 내도이고, 밖에 있는 섬이 외도이다.
내도는 상록수림과 해안바위가 조화를 이룬 아름다운 섬으로 서이말 등대에서 바라보면 거북이가 외도를 향해 떠가는
형상을 하고 있어 '거북섬'이라고도 한다.
외도는 인간 승리의 현장이다. 천연 동백숲에 수많은 종의 아열대 식물이 어우러져 장관을 연출하고 있다.
거기에 기암괴석이 갖가지 형상을 하고 있어 그 또한 볼 만하다.
이 섬에는 공룡의 발자국도 발견되어 학술적인 가치도 높은 곳이다.
생태적 보전가치가 높은 이 섬의 원명은 갈도(葛島)이다. 자연경관이 빼어나 1971년 명승 제2호로 지정되어 '거제 해금강'
으로 등재 되었다.
수억 년 파도와 바람에 씻긴 형상이 갖가지 모습을 연출한다.
사자바위, 미륵바위, 촛대바위, 신랑바위, 신부바위, 해골바위, 돛대바위 등으로 둘러싸인 해금강은 중국 진시황제의
불로 장생초를 구하러 왔다 하여 '약초섬'으로도 불린다.
수십 미터 절벽에 새겨진 만물상과 열 십 자로 드러나는 십자동굴은 가히 조물주의 작품이다.
또 사자바위 사이로 솟는 일출의 모습은 환상적이다.
흑진주 같은 검은 몽돌로 이루어진 해변으로 전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해변으로 꼽히고 있다.
남해안의 맑고 깨끗한 물이 파도 쳐 몽돌을 굴리면, '자글자글' 아름다운 소리를 낸다.
해안을 따라 발 지압을 하며 걸으면, 노자산 가라산의 능선이 부드럽게 가슴으로 다가오고, 코앞에 펼쳐지는 야생 동백림
군락지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팔색조의 울음소리가 귓가를 간지를 것만 같다.
옆 마을 수산에는 아직껏 별신굿이 이어져 내려오고, 노자산·가라산의 희귀식물은 한국 식물학 연구의 보고이다.
망산 자락 밑에 올망졸망 모여 앉은 섬들의 모습은 이웃과 어울려 사는 거제인의 모습을 나타내는 한 폭의 동양화다.
해안 도로를 걸으며 바라보면 구도를 달리하는 여러 폭의 동양화로 변한다. 해질 녘에 닿으면 세상일 다 내려놓게 하는
일몰. 어느 하나 장관이 아닌 것이 없다.
등산객의 숨을 고르게 하는 망산에 오르면 한려수도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고, 바다 안개에 싸인 다도해의 풍경이
가슴으로 다가온다. 점점이 박힌 섬들 사이로 지는 환상적인 일몰은 내려오는 발길을 붙잡는다.
가파른 산자락 아래 위치한 여차만의 몽돌해변은 파도가 밀려왔다가 밀려갈 때마다 자연의 소리를 던져주고
시치미를 띤다. 그 자연의 소리를 먹고 자란 자연산 돌미역은 길게 펼쳐진 이 지역의 특산물이다.
거제 본섬 한가운데에 우뚝 솟아 고을고을마다 팔 벌려 거느리고 있는 계룡산. 해발 566m 그 정상에 오르면 의상대사가
절을 지었다는 의상대가 있고, 능선을 따라 불이문바위, 장군바위, 거북바위, 장기판 바위 등 기암괴석과 가을이면 은빛
찬란한 억새풀이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
그 능선을 따라 내려다 보면 옛 거제현지와 거제부가 있었던 거제면, 둔덕면 일대는 물론, 현재 시청과 삼성중공업이 있는
고현만, 김영삼 전 대통령이 태어난 장목면, 대우조선해양이 자리한 옥포만이 멀리 가물가물 시야에 들어온다.
계룡산 자락에 위치한 '거제포로수용소 유적공원'은 분단된 조국의 아픔을 안고, 가슴을 풀어헤쳐 동족상잔의 쓰라린
상처를 내보이며 나태한 우리를 꾸짖는다.
함목을 지나 해금강으로 가는 길목에서 북쪽으로 내려서면 그림 같은 도장포 어촌마을이 나오고, 고개만 들면 '바람의 언덕'
이 수채화처럼 눈 안에 가득 찬다. 다시 되잡아 언덕을 올라 도로의 남쪽 전망대에 서면 신선이 되어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곳이 있다. 이름 하여 '신선대'다.
'바람의 언덕'은 띠풀이 덮인 언덕이라 옛 이름도 '띠밭늘'이었다. 길게 뻗어 청정해역으로 감싸여 있기에 언제나
바닷바람이 찾는 이를 맞는 곳이다. 푸른 바다와 갈매기가 어우르고, 저 멀리 학동 흑진주 몽돌해변과 수산마을이 펼쳐져
절경을 이룬다. 마을과 언덕이 조화로워 드라마 촬영장소로도 각광을 받는 곳이다.
'신선대'는 바다가 시원스레 내려다보이는 곳으로 바닷가에 큰 바위가 자리를 잡고 앉아, 주변의 아기자기한 경관들을
거느리고 신선놀음을 하는 형상이다. 다포도, 천장산과 함께 오색바위, 다도해 풍경 등을 조망할 수 있으며, 그 자락에 작은
몽돌해수욕장이 있어 운치를 더한다.
장승포항에서 20분 정도 도선을 타고 가야 하는 섬이다. 늘 푸른 상록수와 가지각색의 나무들이 원시림을 간직하고 있다.
특히 동백나무가 많아 '동백섬'이라고도 불린다. 맑은 날은 멀리 대마도가 보이기도 하는 곳이다.
쪽빛바다 위에 푸른 섬 하나. 어찌 보면 신선의 집 뜨락에 있는 정원 같기도 하고, 바다 위에 올려놓은 수반 같기도 하다.
하늘을 덮은 숲길은 이리저리 나 있고, 터널을 지나는 연인들의 귀에는 동박새와 직박구리의 노랫소리가 정겹다.
그들의 끓는 사랑은 한겨울에도 붉게 동백꽃으로 피어난다.
그러나 여기에는 일제강점기 시대 잔재물인 군사시설이 아직도 남아 있어 민족의 아픈 상처를 건드린다.
와현 해수욕장을 스쳐 안으로 깊숙이 들면 예구 마을에 닿고, 그곳에서 작은 산 하나를 오르면 눈앞에 내도가 다가선다.
내도를 향한 밑의 산자락이 바로 공곶이다.
경사가 심한 이곳에 돌담을 쌓고 화초를 심어 원시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 놓았다.
이곳은 부부가 힘을 합쳐 계단식 다랭이 농원을 만들어 놓은 곳으로 가파른 땅에 돌을 모아 쌓고 그곳에 화초를 기른
인간 승리의 현장이다. 울창한 나무숲 아래, 돌담 사이로 빠져나가 해안에 이르면 동글동글한 자갈이 깔린 해변이 나온다.
몽돌빛이 광택이 나는 것은 원시의 숲을 스치고 맑고 푸른 바다에서 논 해수가 시나브로 문지른 덕이리라
'여행정보 > 추억을 담는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풍 문화재 단지 (0) | 2008.03.22 |
---|---|
[주말탐방] ‘서울~양수리’ 리버사이드 별밤열차 (0) | 2008.03.20 |
영월 단종문화제 프로그램 확정 (0) | 2008.03.07 |
삼척 맹방 유채꽃축제 내달 10일 개막 (0) | 2008.03.07 |
달콤한 딸기 따기 체험과 음~ 허브향기 가득한 곳에서 맛있는 꽃 비빔밥 (0) | 2008.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