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정보/추억을 담는여행

빌딩 숲에 들어앉은 중국의 정원, 일장춘몽 같아라

채우리1 2009. 8. 27. 13:54

 

수원 효원공원 월화원 & 소박한 수원시내 나들이

                빌딩 숲에 들어앉은 중국의 정원, 일장춘몽 같아라


     △ 월화원은 중국 광둥(廣東)성이 수원시 효원공원 서편에 조성한 중국식 정원이다.


'한나절 휴식‘이면 될 것 같은데….

지친 마음 다독여 줄 작은 그늘이면 될 것 같은데…. 그늘 아래 풍경 아래라면 행복해 질 것 같은데 잠시 잠깐 ‘짬’을 내는 것이 쉽지 않다. ‘즐거운 뉴스’ 하나가 비온 뒤 무지개 찾는 것처럼 어려운 요즘, 지친 마음 잠시 쉬어갈 정원 한바퀴 돌아보는 건 어떨까.

한바퀴 돌아 봐도 아쉬운 마음 달랠 길 없다면, 수원시내 소소한 즐거움을 찾아 발걸음을 옮겨보자. 우리 주변엔 생각보다 많은 ‘여유’가 숨은그림찾기처럼 들어 차 있다.



“설마 여기 정원이?!”

월화원. 어딘가 사극에서 들어 봤음직한 이 이름은 수원 효원공원에 있는 ‘중국식 정원'의 이름이다. 고로, 수원시내 첫 번째 나들이 코스인 월화원은 우선 ‘효원공원’을 찾아가야 한다. 효원공원을 찾아 나서다 보니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빌딩 숲 사이에 멈춰서게 된다.  “여기에 설마 정원이 있을라구?”

숱한 블로거들의 ‘인증샷’을 확인했음에도 ‘월화원’에 들어서기 전까지 잘 믿기지 않는다. 효원공원에 들어서면 자연스럽게 좌측으로 시선이 간다.

◁ 효원공원 좌측에 자리한 월화원 입구 

원공원의 분위기와는 사뭇 다른 지붕이 눈에 띄어서다. 이어지는 몇 개의 계단. 계단 양쪽으로 사자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한 ‘여의주(?)’를 문 동물상이 눈에 띈다. 일찌감치 카메라 든 손이 바빠진다. 이 문을 들어서면 ‘중국식 정원’이라는 다소간 낯선 공간이 나타난다.

중국 무협 영화에서 봤음직한 ‘진짜 중국식 정원’ 월화원

중국식 정원이 어떻게 수원의 효원공원 가운데 들어서게 됐을까.

월화원은 중국 광둥(廣東)성이 효원공원 서편에 조성한 중국식 정원으로서 광둥 지역 전통 정원의 특색을 살려 건물과 정원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003년 10월 경기도와 광둥성이 체결한 '우호 교류 발전에 관한 실행 협약'의 내용 가운데 한국과 중국의 전통 정원을 상대 도시에 짓기로 한 약속에 따라 2005년 6월 15일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2006년 4월 17일 문을 열었다.
광둥성에 있는 전통 정원인 영남 정원과 같이 건물 창문으로 밖의 정원 모습을 잘 볼 수 있게 하였고 후원에 흙을 쌓아 만든 가산(假山)과 인공 호수 등을 배치하였다. 또 호수 주변에는 인공 폭포를 만들고 배를 본떠 만든 정자를 세우기도 하였다.
 
곳곳에 한시와 글을 새긴 건물은 하양 가루로 파랑 벽돌과 나무를 연결하는 광둥 지역의 전통 건축양식을 그대로 따라 지었다. 지붕 접합부는 나무와 벽돌, 석회 조각 등을 사용하였다.

2005년 6월 한국으로 건너온 중국 노동자 약 80명의 손으로 지어진 이 정원 크기는 6,026㎡(1,820평)이며 광둥성이 건축비 34억 원을 부담하였다. 2003년 10월 맺은 협약에 따라 경기도 역시 광둥성 광저우[廣州]에 있는 웨시우공원[越秀公園] 안에 해동 경기원(海東京畿園)을 조성하였다. 2005년 12월 문을 연 해동경기원은 전라남도 담양군에 있는 한국 전통 정원 소쇄원을 본 딴 것이라고 한다.



은근한 맛에 자꾸 돌아보게 되는 작지만 큰 정원


△담과 창 그리고 문이 보일 듯 보이지 않게 조화를 이룬다. 둥근 출입구 위에는 한자로 만춘(晩春),
지춘(知春)이 적혀있다. 각 건물에 붙은 이름을 한글자씩 세겨 음미하며 걸으면 정원나들이는 한결 풍성해 진다.



월화원의 면적은 그다지 넓진 않지만, 은근한 맛에 자꾸만 돌아보게 된다. ‘창문’역할을 하는 벽 가운데 뚫린 구멍, 대문 역할을 하는 벽 사이 난 구멍. 모두 신비로운 분위기를 풍긴다. 작은 공간 하나에도 이야기가 담여 있는 듯 하다. 동그란 출입문 위에 붙은 만춘(晩春), 지춘(知春)과 같은 글자들을 보면 더욱 그렇다. 문을 지나면서 ‘봄을 느끼고’ 또 한쪽 문을 지나면 ‘봄이 지난다’는 뜻이다.
그 뿐만이 아니다. 월방과 연못, 부용사와 옥란당 등 의미를 곱씹어 하나씩 뜯어 보면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곳들이다. 월화원은 누군가에겐 ‘휘 돌아보는 10분 코스’ 일 테고 또 누군가에겐 음미하면서 오래 두고 사귀고 싶은 벗 같은 공간이 된다. 월화원의 여름 볕 아래, 누군가는 만화에서 봤음직한 코스프레복장을, 또 누군가는 아들의 귀여운 한때를 사진에 담기 바쁘다. 작고 짧은 ‘행복’이 월화원에 앉았다.


수원시내 숨은그림 찾기 나들이


공원을 나서 주변을 살펴보면 쏠쏠찮게 돌아 볼 곳이 있다.
공원 입구에서 경기도문화예술회관의 야외음악당에 이르는 430m거리는 문화관광부에서 문화의 거리로 지정하였다.

△어린이 미술체험관도 함께 운영 중인 수원미술전시관. 시내나들이로 안성맞춤

이 거리에서는 수원예술제 등 각종 문화행사가 열린다. 수원시외버스터미널에서 도보로 20분 거리에 있으며, 인근에 수원성곽과 융건릉·용주사·광교유원지· 경기도문화예술회관·수원월드컵경기장 등이 있다.

공원에서 주택은행 동수원지점 맞은편까지 너비 15∼20m, 길이 440m의 거리는 나혜석거리이다. 길 좌우로 벤치와 카페·레스토랑 등이 들어서 시민들의 도심 휴식터로 각광을 받는다. 이 거리는 수원에서 출생하여 우리나라 첫 여성 서양화가가 된 나혜석 (羅蕙錫, 1896∼1948)을 기념하여 조성한 곳이다. 조명과 음향시설을 갖춘 만남의 광장과 분수대 등이 있으며, 음악공연과 전시회·행위예술을 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나혜석 거리, 수원미술전시관, 농업과학관


△ '관심없어'라는 마음으로 대소롭지 않게 넘기게 되는 '농사이야기' 야 말로 우리민족의 뿌리일 터.
시내 가까운 곳에서 가벼운 마음으로 생활 속에서 느껴보는 생생한 농업문화. '농업과학관'에 발도장을 찍자


그 밖에도 만석공원 내에 아름다운 호수와 어우러진 수원미술전시관에서 문화의 향기를 느껴 보는 것도 좋겠다. 가족과 함께 나온 걷기 나들이라면 과거와 현대, 미래를 넘나들며 농업현황과 우수성을 느껴 볼 수 있는 농업과학관도 들러 보자. 더불어 우리나라 의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해온 잠사업과 잠사문화에 관한 유물이 전시된 잠사과학박물관을 방문하는 것도 의미 깊은 여행이 될 성 싶다.


여행정보 


◎효원공원 가는 길

* 고속도로 이용

1) 수원(신갈)IC - 빠져 나와 좌회전(수원방향) 4Km 계속 직진 - 법원 사거리에서 좌회전 1.5Km 직진 - 신매탄 사거리에서 우회전 - 직진후 300M 앞 좌측에 위치

2) 동수원 IC - 수지 방향 직진 - 전방 300M 앞에서 우회전(월드컵 경기장 방향) - 월드컵 경기장 사거리에서 직진 - 고가도로타고 1.5Km 직진 - 뉴코아 아울렛 사거리에서 좌회전 후 500M 앞 우측에 위치

* 국도 이용

1번 국도 따라 진행 - 좌측 북수원 홈플러스에서 직진 - 수원 종합운동장 지나 우측 동문(창룡문)지남 - 동수원 사거리에서 직진 - 인계 사거리에서 좌회전(KBS 드라마센터 방향) - 좌측 KBS드라마센터 지나 100M 앞 사거리서 직진- 전방 500M 앞 우측에 위치

◈주 소: 경기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1117 효원공원 내

◈문 의: 031-228-2412

◈시 간: 09:00~18:00 (연중무휴)


◎수원미술전시관: www.suwonartcenter.org

주  소: 경기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 409-2

문 의: 031-228-3647 

시  간: 하절기 10:00 ~ 19:00(3월~10월) /  동절기 10:00 ~ 18:00(11월~ 2월)

※ 단, 입장 시간은 하절기에는 18:00시 동절기에는 17:00 까지 입장해야 한다.

※ 월요일 오후부터 화요일 오전까지는 작품교체로 전시관 관람이 불가능하다.


농업과학관: www2.rda.go.kr/aeh

주  소: 경기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250

문  의: 031-299-2458

시  간: 평일 09:00 ~ 18:00 / 휴일 10:00 ~ 17:00  (3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나혜석 거리 자세히 보기   ◎잠사과학박물관 자세히 보기  

수원종합관광안내소 031-228-4672   수원시 문화관광  http://tour.suwon.n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