팸투어후기

[평창여행추천] 평창 두일리(약초마을]탐방! 당귀의 효능과 당귀채취 체험여행 팸투어

채우리1 2014. 10. 14. 10:59

 

 

 

 

평창 약초마을(두일리)에서 당귀(한약재) 채취 체험여행

 

당귀는 여성에게 좋은 하늘이 내려준 산약 이라고 한다

평창 두일리에 위치해 있는 약초마을을 탐방했다

지금 축제중에 있는 월정사 사찰 경내를 잠시 둘러 보고

약초마을에서 재배중인 한약재 "당귀" 뿌리를 채취한다

당귀는 어디에 좋으며 어떻게 쓰여지나? 많은 궁금증이 있었는데

모든 사람들에게도 좋지만 특히 여성에게 좋다는걸 비로소 알았다

 

당귀는 한약재로 매우 널리 쓰이는 약재 중 하나이다.

‘열 처방 중 아홉은 당귀’라는 말이 있을 정도라고.

당귀는 혈을 보해주고 기혈의 순환을 도와주어

어혈을 없애주는 뛰어난 효능이 있다고 하며. .

특히 부인병과 산후조리에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복통, 월경통, 월경불순에 효과가 있으며 갱년기 장애에 약으로 쓰이며.

하지만 자궁 출혈이 심할 때는 사용하지 않고 장기간 투여하는 것을 삼가한다.

요즘에는 당귀에 뇌를 보호하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

당귀에는 두뇌에 좋은 데커신 성분이 뇌세포의 손상을 막고

독성물질을 차단해 뇌를 보호하고 뇌경색을 막아준다.

그리고 치매를 유발시키는 주요 물질인 베타 아밀로이드의 독성을

당귀의 데커시놀과 패룰릭산이 차단해줘

치매예방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고 전해진다.

 

 

 

 

당귀는 뿌리가 너무 깊게 박혀있어 캐기가 정말 힘들다

약초마을 이장님께서 직접 캐 주시면서 설명까지 일목요연하게~~ 

봄에는 새싹이 나오는 당귀잎을 쌈채소!  또 장아찌도 담그고

가을에는 뿌리로 당귀차를 음용하니 당귀는 정말 버릴게 하나도 없다.

채취한 당귀 뿌리를 찍고 계신 블로그 고수님들~

우리 일행을 안내해 주시는 그린투어 사업단 최일선 스태프님!  

일목요연하게  설명도 해주시며  예쁜 미소로서 친절하게 안내해 주셨다

 

약초마을 대표님께서 당귀밭 언덕에 올라 당귀에 대한 보충 설명을 해주신다

 

 

 

 

당귀는 봄에 포트에서 키운 모종을 심어 1년새 이렇게 자란다고 한다 

사이좋은 남매가  채취한 당귀를 들어보이고 인증을 담는다

 봄에 파종한 당귀가  가을엔 이렇게 엄청 커다란 뿌리라 자란다 

 

 

당귀가 자라고 있는  당귀 밭

 

 

당귀 [當歸] 한약제

산형과(傘形科 Apiaceae)에 속하는 한약재인 당귀의 뿌리.

[性味歸經:성미귀경]
甘ㆍ辛, 溫. 入肝ㆍ心ㆍ脾經[心ㆍ肝經].
성미 감신(甘辛):당귀는 달고 매운맛이 있고  무독(無毒)하며 성질은 온(溫)따뜻합니다.
작용부위 간(肝), 비(脾), 심(心)

 

이제 부터 본격적인 효능효과에 대해서 정리해봅니다.

보혈화혈(補血和血) : 피가 부족할때는 피를 만들어주고 피가 뭉쳤을때는 풀어준다.

윤조활장(潤燥滑腸)- 매마른곳을 적셔주고 장을 매끄럽게한다 (변비)

조경지통(調經止痛) - 월경을 조화롭게하고 통증을 그치게한다 

 

주로사용되는 병증

혈허위황(血虛委黃) : 얼굴에 핏기가 없어 누렇게되고 가슴이두근거리며 힘이 없을때

혈허두통(血虛頭痛):피가 부족해서 생기는 두통

붕루(崩漏), : 자궁출혈

장조변난(腸燥便難) : 장이건조해서 변을 보기 어려울때

질타손상(跌打損傷), : 타박상

월경부조(月經不調), :월경주기, 월경량등 월경이상이 오는것

경폐복통(經閉腹痛), :오랫동안 월경이 없어서 배가 아픈것

징하결취(癥瘕結聚), :피가 뱃송에 뭉친것

옹저창양(癰疽瘡瘍), : 독을 밀어내고 종기를 빠지게 하는 효능

현훈(眩暈), : 어지러움증,빈혈

위비(胃痺) :속이 답답하고 기가 뭉쳐서 소화가 잘 안될때

 

당귀는 보혈약(피를 보하는 약으로 구분됩니다.) 보혈약

① 당귀 : 보혈, 행혈, 윤장조경, 생혈, 당귀미(활혈)

② 숙지황 : 보혈,자음, 소화부담, 무와 병용 피하자.

③ 천궁 : 활혈행기, 거풍지통, 혈 순환, 기소통,

④ 백작약 : 보혈, 완급지통, 함박꽃뿌리, 간혈보해 근육 풀어줌(어지럼,이명,근경련, 눈충혈)

⑤ 구기자 : 보간혈, 생정혈, 명목(눈맑게)

⑥ 원육 : 보심안신, 보비양혈, 비장의 음혈 보함, 신경쇠약 인한 불면, 건망, 동계

 

당귀는 깊은 산속에서 자생하나 주로 재배되며, 줄기는 높이가 1~2m 정도이고 뿌리를 약물로 사용하는데 뿌리는 비후(肥厚)하며 유즙을 함유하고 향기가 강하다. 뿌리는 길이가 20~25㎝ 정도이고, 지름이 1~5㎝ 정도가 된다. 주성분은 정유(精油), 자궁흥분성 성분, 자당, 비타민 E 등이다. 그 성질은 온(溫)하며 독이 없고, 신맛과 단맛이 나는데 약간 쓴맛이 돈다. 주로 심장·간·비장의 3경(三經)에 들어가 작용하는 성질이 강하다.

효능은 보혈조경(補血調經:부족한 피를 보충하고 월경이상을 조절)·활혈지통(活血止痛:피를 활발하게 순환시켜 통증을 멈추게 함)·윤장(潤腸:대장을 윤택하게 하여 부드럽게 함) 등으로 대별된다. 당귀는 임상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약물중의 하나이다. 특히 부인과의 주약(主藥)이며, 주로 월경조정에 사용한다. 생리통에도 효과가 있으며, 백작약(白芍藥)·연호삭(延胡索)·향부자(香附子) 등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이외에 무월경, 생리불순에도 효과가 있다. 동계(動悸)·건망·불면·정신불안 등의 심혈허(心血虛) 증상에는 당귀로 보혈하고 진정시킨다. 비혈허(脾血虛)로 인해 몸이 마르고 초췌해 보일 때에는 당귀로 양혈건비(養血健脾)한다. 어지럽고 눈이 아물거리고 귀에서 소리가 나고 근육경련이 있을 때도 당귀를 써서 양혈(養血)·양간(養肝)한다. 어혈(瘀血)에 사용하는데 타박, 염좌(捻挫) 등의 외상이나 혈관질환으로 인해 생긴 내출혈, 혈류정체, 종장(腫腸), 통증에 대해서 혈액순환을 개선·진통시켜 치료한다. 허한(虛寒)으로 인해 기혈어체(氣血瘀滯)가 되어 생긴 복통(腹痛)에도 적합하다. 산후허한(産後虛寒)의 복통 등에는 소건중탕(小建中湯)을 배합하여 온중지통(溫中止痛)의 효과를 높인다. 만성화농증에도 사용하는데 당귀의 치혈(治血)·보혈(補血)·지통(止痛) 등의 효능에 의해 순환을 개선하고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대장을 윤택하게 보충하여 대변을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는 육종용·우슬 등의 약물을 배합하여 대장이 건조해서 생긴 변비를 다스린다. 이밖에도 표증(表證)이면서 기혈양허(氣血兩虛)하고, 어혈로 인한 두통이나 관절통에도 당귀의 행혈진통(行血鎭痛)의 효능을 이용한다. 세분하여 사용할 때에는 혈액순환의 개선제나 해표제(海螵劑)로 쓸 때는 전당귀(全當歸)를, 빈혈치료·월경조정에는 귀신(歸身)을, 타박·염좌의 종창(腫脹)이나 어통(瘀痛), 관절의 운동장애에는 귀미(歸尾)를 사용하는 원칙을 참고하여 선택하면 된다.

 

당귀를 사용할 때는 다음 몇 가지에 주의해야 한다. ① 장기간 또는 다량으로 사용하면 인후통, 콧구멍의 작열감 등의 허화상염(虛火上炎)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때는 처방에 금은화(金銀花), 생지황(生地黃) 등의 청열량혈약(淸熱凉血藥)을 적당히 가하면 좋다. ② 당귀는 통변작용(通便作用)이 있으므로 비양허(脾陽虛)로 인한 설사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③ 당귀는 온성이므로, 폐음허(肺陰虛:폐를 윤택하게 하거나 '火'의 기운을 잡아 줄 수 있는 수분이 부족한 현상), 간화왕(肝火旺:간의 기능항진으로 생기는 '熱'이 왕성한 현상), 토혈이 금방 지혈된 경우 등에서는 사용을 금한다. ④ 활혈(活血)의 효능이 강하므로 과다한 성기출혈(性器出血)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브리태니커 발췌)

 

 

 

 당귀 뿌리를 물에 깨끗이 씼어~~

소쿠리에 담아 물기를 뺀다  

당귀차용 당귀다  잘게 가위로 잘게 잘라 햇볕에 말리고 있는중이다

동네 어귀를 산책하다 저녁연기가 모락모락 피어 오르는 모습을 보다가

문득 어린시절 보며 살았던 옛 추억에 사로잡혀 새록새록 그리움이 사무쳤다.

가을 걷이가 거의 끝나갈 무렵 밭두렁들~ 진부면 두일리 약초마을이다

당귀 체험 하러가다 약초마을 전경(일부)

 

숙소가 말끔하게 잘 정돈되어있으며 방 바닥도 따뜻하니 좋다

15명 정도가 잘수있는 2층 침대 방이다 

 

여름엔 야외에서 텐트를 칠수있도록  장소도 잘 마련되어있다

 

 

 

삼성전자와 일사이촌 자매결연을 맺은 평창 두일리 약초마을 현판

튼튼병원과 일사이촌 자매결연을 맺은 평창 두일리 약초마을 현판

 

 

 

 

 

분교에서 국민학교로 그러다 2009년도에 문은 닫은

농촌 전통 테마 체험관으로 이용한다 

HAPPY 700 STAY 별이 네개? 여쭤볼걸 사진을 보니 생각난다 

 

 

 

주방에서 손수 음식준비를 해주시는 약초마을 주민분들!

싸리가지를 손수 준비해 주시고 당귀 장아찌와 명이장아찌 묵은지 정말맛있었구요

싸리가지에 꿰어 구워먹은 되지고기는 물론 그렇게 맛있는 곤드레밥도 잊을수 없습니다 

그날 정말 맛있게 잘 먹었습니다  이자리를 빌어 다시 감사의 인사 드립니다

 

. 당귀장아찌, 산마늘장아찌, 묵은지 구운 돼지고기에 싸먹으면 정말 맛있다

.  숯불에 굽기위해 싸리나무 가지에 돼지고기를 꿴다

 

싸리가지에 돼지고기를 꽂아 숯불에 노릇노릇 맛있게 구워진 돼지고기!

정말 잊을수 없는 싸리가지고 구운 돼지고기 맛!  언제 또 이맛을 볼수 있을지 나름 다음을 기약해 본다^^

 

 

내마음 여행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