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정보/추억을 담는여행

발효로 완성시킨 건강 먹거리, 한과와 막걸리

채우리1 2009. 12. 15. 15:49

 

 

 

발효로 완성시킨 건강 먹거리, 한과와 막걸리


이동막걸리 포장중이다.<사진촬영 : 여행작가 한은희>  


발효로 완성시킨 건강 먹거리, 한과와 막걸리


위    치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리 한가원,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이동막걸리


신종플루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요즘, 어디론가 여행을 떠나는 것이 부담스럽기만 하다. 그렇다고 집안에서만 시간을 보내기에는 지루하고 답답하다. 이럴 때 찾아가면 좋은 곳이 건강이 좋아지는 여행지이다. 여행지에서 맑은 공기를 마시며 마음의 건강을 되찾고, 면역력이 좋아지는 음식을 먹으며 몸의 건강을 되찾을 수 있는 것.

포천시에는 방부제도 보존제도 사용하지 않고 전통방식 그대로 찹쌀을 발효시켜 말리고 튀겨 만드는 한과와 쌀과 누룩을 섞어 옹기에서 발효시켜 만드는 막걸리가 있다. 포천을 대표하는 이 음식들은 모두 발효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찹쌀과 쌀에 들어있는 성분들이 분해되어 흡수되기 좋은 상태로 변하는 것. 덕분에 소화가 잘 되는 것은 물론, 위장을 보호하고 피를 맑게 하는 역할도 한다고. 한과명인 김규흔 선생이 만든 한과체험공간 한가원과 옹기에 숙성시켜 만든 이동막걸리가 있는 포천시가 건강이 좋아지는 여행지로 손꼽히는 까닭이다.

 


옹기안에서 보글보글 끓어오르는 막걸리<사진촬영 : 여행작가 한은희>


한가원 강정<사진촬영 : 여행작가 한은희>


한과체험공간 한가원은 2007년 6월에 문을 열었다. 이곳에서 가장 먼저 찾아갈 곳은 한과문화박물관. 유과와 약과를 비롯한 다양한 한과를 만난 수 있는 공간이다. 이곳으로 들어서면 종류별 한과들을 모두 만날 수 있다. 밀가루와 참기름·꿀·술·생강즙 등으로 만들어 내는 유밀과, 찹쌀·콩·술·꿀·엿·고물 등으로 만드는 유과, 곡물·꽃가루·한약재 등을 곱게 갈아 꿀로 반죽해 만드는 다식, 연근·수삼·도라지·생강·사과·유자·송이 등의 야채를 조려 만드는 정과, 깨·콩·땅콩·호두 등을 엿으로 버무려 만드는 엿강정, 갱엿·옥수수엿·수수엿·보리엿 등의 엿들이 모두 한과로 통칭된다고. 우리가 흔히 한과라 부르는 과자는 유과의 한 종류라는 것도 이곳에서 알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종류의 한과는 만들 때 사용하는 도구도 저마다 다르다. 도구를 살펴보고 싶다면 2층 전시실로 갈 것. 전통의 도구는 물론, 김규흔선생이 만들어낸 새로운 도구들도 볼 수 있다.


한가원 2층 전시장을 돌아보는 아이<사진촬영 : 여행작가 한은희>


한과만들기 체험<사진촬영 : 여행작가 한은희>


박물관 관람이 끝나면 2층 체험실로 동선이 이어진다. 한과 만들기 체험은 한과에 대한 설명과 유과집청, 산자그림그리기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과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이색적인 것은 김치나 된장처럼 특유의 냄새는 없지만 한과도 발효식품이라는 것이다. 한과의 기본 재료인 찹쌀을 일주일에서 열흘을 삭혀 사용하는 것. 발효된 찹쌀가루를 익혀 공이로 잘 부풀도록 치댄 다음 밀어 말리는 과정에서 숙성과정도 거친다. 이처럼 발효와 숙성과정을 거친 한과는 기름에 튀긴 후 조청을 묻히고 깨, 조, 쌀 등을 입혀 완성·보관하면 쉽게 변질되지 않는다. 선조들의 지혜를 살필 수 있는 체험이다.

한과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미리 튀겨 준비해 둔 유과 알맹이에 눅진해진 조청을 골고루 묻히고 부셔놓은 밥풀을 입히면 유과만들기가 완성된다. 네모난 산자에 대추와 잣 해바라기씨 등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는 산자그림그리기도 재미있다.

한과체험이 끝나면 직접 만든 한과를 상자에 담아 들고 아래층으로 다도체험실로 이동해 차 마시는 방법과 예절, 다양한 도구사용법 등을 배운다. 한과의 달콤함과 어우러지는 개운한 녹차 한잔을 직접 우려 마시면 한가원에서의 체험이 마무리된다.


막걸리는 ‘막 거른 술’이란 뜻을 지니고 있다. 쌀과 누룩을 섞어 옹기에 담아 잘 발효시킨 술에 용수를 밖아 맑은 술을 떠내면 동동주가 되고, 쌀알까지 함께 으깨 걸러내면 탁주 즉 막걸리가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막걸리에는 단백질과 당질, 콜린, 비타민B2,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있다고 한다. 이중 유기산은 갈증을 멈추게 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장수하는 사람들 중 막걸리를 좋아하는 사람이 많은 것도 무관치 않을 듯싶다.

포천탁주의 대표주자인 이동막걸리는 1957년부터 막걸리를 빚어온 전통의 막걸리공장이다. 포천에서 군대 생활을 한 사람들의 입을 통해 전국으로 그 맛이 알려졌을 정도. 지금도 이동막걸리가 있는 이동면 도평리 일대에는 수많은 직판매장이 막걸리촌을 형성하고 있다. 갓 생산된 신선한 생막걸리를 도토리묵과 손두부를 안주삼아 한잔 마실 수 있는 공간들이다.

막걸리를 직접 빚어보고 싶다면 산사원으로 가야한다. 술 빚는 도구들과 술이 익어가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전시장, 가양주 빚기 등 술에 관한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공간이다. 쌀 1kg으로 직접 술을 빚어보는 산사원 가양주프로그램은 매일 운영되지 않으므로 예약 후 찾아가야 한다.


누룩과 쌀을 섞고 있는 사람들<사진촬영 : 여행작가 한은희>


산사원에 전시된 막걸리 거르는 인형<사진촬영 : 여행작가 한은희>


포천의 문화예술창작공간으로 거듭난 아트밸리는 1960년대 후반부터 건축자재로 화강암을 잘라냈던 신북면 기지리 천주산에 자리하고 있다. 돌을 캐내어 움푹 파인 폐석산을 친환경 문화예술공간으로 만들어 2009년 10월 24일에 개장한 것. 돌을 캐내던 공사장을 그대로 활용해 만든 공간이라 입구에서 정상까지 오르는 길이 가파른 것이 단점. 때문에 포천시는 공원입구에서 정상인근을 오가는 모노레일을 놓았다. 정상의 전시관에서는 지난 10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심리적 풍경, 도시적 풍경, 환경적 풍경을 주제로 50여명의 작가가 참여한 전시가 열리고 있다.


아트밸리 전경<사진촬영 : 여행작가 한은희>


아트밸리 호수<사진촬영 : 여행작가 한은희>


<여행정보>


○ 관련 웹사이트 주소

포천시청 www.pcs21.net/culture/main

한가원 www.hangaone.com

이동막걸리 www.e-dong.co.kr

산사원 www.soolsool.co.kr

아트밸리 www.artvalley.or.kr


○ 문의전화

포천시청 관광진흥팀 031)538-2067~9

한가원 031)533-8121

이동막걸리 031)535-2800

산사원 031)531-9300

아트밸리 031)538-3483~4


○ 대중교통 정보

[ 버스 ]

•동서울종합터미널~포천, 06시~21시 40분까지 15~20분 간격 운행, 1시간 40분 소요, 문의 1688-5979(ARS), www.ti21.co.kr

•선진고속수유터미널~포천, 05시 50분~21시 40분, 15분 간격 운행, 1시간 소요, 문의 02)995-9188 


○ 자가운전 정보

•중부고속도로 구리TG → 외곽순환도로 퇴계원IC → 47번국도 → 일동면 → 산정호수 → 한과문화박물관 교육관 한가원

•서해안고속도로 → 외곽순환도로 → 의정부IC → 43번국도 → 운천(산정호수 방향 3km) → 한과문화박물관 교육관 한가원


○ 숙박정보

메이필드 : 영북면 운천5리, 031)531-3237, www.emayfield.co.kr

산정호수 가족호텔 : 영북면 산정리, 031)532-2266, www.sanjunghotel.co.kr

아도니스호텔 : 신북면 삼성당리, 031)530-9300, www.adonishotel.co.kr


○ 식당정보

명문이동갈비 : 영북면 산정리, 이동갈비, 031)531-6040

동이손만두 : 소흘읍 직동리, 만두전골, 031)541-6870

개울오리농원 : 어룡동, 마늘오리, 031)534-5252

만세교콩비지식당 : 신북면 만세교리, 청국장, 031)531-4416


○ 축제 및 행사정보

포천 아트밸리 예술창작 축제 : 2009년 12월 23일~2010년 2월 23일, 031)538-3483~4, www.artvalley.or.kr

백운계곡동장군축제 : 2010년 1월1일~31일, 031)535-7242, www.dongjangkun.co.kr

허브아일랜드 불빛축제 : 2009년 11월 21일~2010년 2월 28일, 불빛 점등시간은 7시~21시, 031)535-6494, www.herbisland.co.kr


○ 주변 볼거리

산정호수, 국립수목원, 유식물원, 평강식물원, 운악승마장, 일동온천지구